아페페의 옆구르기
'패시브 인컴'을 만들기 위한 두 가지 핵심 키워드 본문
지금부터 내가 한 달에 100만원 씩 더 번다고 가정해보자.
수익이 저조한 달이 있을 것을 감안해도 지금보다 1년에 최소 1000만원은 더 벌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직장인이라면 연봉이 1000만원 인상되는 것과 동일한 셈이다.
연봉을 1000만원 올리려면 1. 더 좋은 회사로 이직하거나 2. 지금 다니는 회사가 대박나거나, 둘 중 하나인데 둘 다 쉽지 않다.
차라리 인센티브를 받는게 더 현실적인데 그건 고정 수입이 아니라는 게 함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에 다니면서 월 소득을 높이고 싶다면 패시브 인컴(Passive Income)을 만드는 게 답이다.
당연히 시작은 빠를수록 좋을 것이다.
당장 지금부터 30분 안에 패시브인컴을 만들 수 있는 핵심 키워드 2가지
1. 실행력 2. 꾸준함
실제 성과를 낸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내용이야 말로, 그 분야에서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핵심이자 진리라고 생각한다.
패시브 인컴을 포함한 여러가지 사업 소득으로 경제적 자유를 이룬 사람들의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키워드가 '실행력'과 '꾸준함'이다.
1. 실행력
정말 놀라운 일은 100명에게 이 일을 시켜도, 99명은 하지 않는다. 이게 뭘 의미하는지 알겠는가? 10분 걸리는 일을 시켜도, 사람들은 하지 않는다. 그래서 인생이 진짜진짜 쉬운 것이다. 이게 무슨 말인지는 곰곰히 생각해봐라.
100명중에 99명은 돈에 의해 움직이거나, 누군가의 감시와 처벌 속에서 움직인다. 그래서 가난하고, 불행한 것이다. 하지만 100명중에 1명은 능동적으로 움직인다. 이 능동적인 사람은 시키지 않아도 무언가를 실행한다. 이 결단과 실행이 10번 100번 반복되면, 추진력을 얻어 인생은 참으로 쉬워진다.
- 네이버 블로그 <라이프해커 자청>
'시작이 반이다' 라는 말이 있다. 무언가를 시작하는 게 그만큼 어렵기 때문에 생긴 말이 아닌가 싶다.
근데 돌이켜보면 그동안 살면서 포기해온 많은 도전들은 대부분 내가 '안'해서 포기한거지 '못'해서 포기한건 아니었다.
귀찮아서, 낯설어서, 성공이 보장되지 않아서, 혹은 두려워서...
시작을 망설이게 하는 핑계는 정말 셀 수 없이 많다.
하지만 시작하지 않으면 결과도 없다. 그러니까 일단 실행하고 보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2. 꾸준함
신규 팟캐스트의 80%가 6개월을 못 버틴다. 바꿔 말하면 반년만 버텨도 이미 80%보다 잘하는 셈이다. 이게 연 단위로 가면 더 심하다. 난 1년 이상 매일 콘텐츠 올리는 블로그를 거의 못 봤다. 체감상 5%도 안 되는 것 같다. 뭐든 1년만 꾸준히 해도 성과가 안 나올 수 없다.
영어 회화 학원에 다닌 적이 있다. 새벽 수업에 등록했더니 딱 2주 만에 나오는 사람이 1/5로 줄었다. 3개월 과정이 다 끝날 때 까지 한 번도 안 빠진 건 오직 나뿐이었다. 심지어 선생도 결석한 날이 몇 번 있었다. 그 때 깨달은 건 뭔가 꾸준히 하는 건 그 자체로 특별한 것이고 이렇게 성실할 수 있는 타입은 10%도 안된다는 사실이다.
- 머니맨 (moneyman.kr)
나같은 경우 티스토리와 애드센스를 통해서 월 100만원의 패시브 인컴을 만드는 게 목표인데, 그러려면 내가 쓴 글이 검색 키워드에 잘 노출될 수 있도록 점점 많은 포스팅을 쌓아가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1. 키워드 서치를 주기적으로 해야 하고, 2. 글도 되도록이면 매일 작성해야 한다.
결국 티스토리나 블로그라는 것도 '꾸준히' 해야 성과를 얻을 수 있는 분야이다.
꾸준히 한다고 무조건 월 100만원 씩 벌 수 있는 블로그가 되는건 아니지만, 그래도 블로그가 잘 되려면 꾸준함은 필수라는 뜻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냥 평탄하게 지금까지 살아온대로 살고싶어하고, 언젠가는 하겠지라는 생각으로 오늘 당장 시작하지 않는다. 무언가를 시작할때는 뭔가 엄청난 준비 이후에 시작해야한다고 생각하며 겁을 먹거나 두려워해서 그런지 시작조차 하기 힘들어한다. 누군가가 이끌어주길 원하고, 정답이 있는 길만을 가길 원한다. 막상 실제로 해보면 별거 아닌데도 말이다.
따라서 성공하기 위해선 실행력이 필수적이다. 각이 나오면 바로바로 해야하는데, 이런저런 이유로 질질 끌면 아무것도 못함.
그리고 두번째 성공의 요인은 지속력이다. 지속력이 없으면 환경이 괜찮거나 운대가 잘맞아서 좋은 스타트를 하더라도 필연적으로 망하게된다. (...) 성공하는 사람들은 뭐 존나 똑똑하고 잘나서 성공하는게 아니고, 대부분은 지속력과 실행력을 가지고 평소에 하던게 꾸준히 하다가 대박이 터지는거다.
- 네이버 블로그 <이엔티>
너무 큰 부담갖지 말고, 적당히 즐기면서, 적당히 열심히.
대신 포기하지 말고 목표를 이룰 때 까지 꾸준히 해보자!
'경제적 자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범한 사람이 월 2천만원 벌게 된 아이디어 (by 라이프 해커 자청) (1) | 2021.05.22 |
---|---|
월 1000만원 벌게 해준 계산법이 있다? (by 대학생 김머신) (2) | 2021.03.21 |
29살에 경제적 자유를 얻은 방법 feat. 연매출 55억 (by 정다르크) (2) | 2021.03.20 |